메인메뉴 바로가기 본문영역 바로가기
Quick Menu
Quick Menu

공유·공감·소통의 파트너십으로 함께 성장하는 전문기관

제목, 작성일, 조회수, 내용, 항목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제목 [보도자료] 시민과 연구자가 함께하는 건축기술개발 세미나 개최
작성일 2025-11-07 조회수 51
파일첨부 20251103_[KRIEA 보도자료]_리빙랩 세미나_최종.hwp

시민과 연구자가 한자리에 모여 국민의 삶과 직결된 주거환경 개선을 위한 실질적 협력 방안을 논의하는 자리가 마련된다.
(
)한국환경건축연구원과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은 2025117() 오전 10시 서울 여의도 FKI TOWER 컨퍼런스 센터
3층 에메랄드홀에서 시민과 연구자가 함께하는 건축기술개발-국토교통기술기반 주거생활환경 문제해결-리빙랩 사례를 중심으로 세미나를 개최한다.

 

최근 실시된 한국인 주거만족 지수조사에 따르면, 쾌적한 주거환경(49.1%) 안전(44.2%) 대기질(39.0%)
주거 만족의 핵심 요소로 꼽혔다
. 또한 생활소음 실내공기질 생활폐기물 등
생활환경 개선에 대한 요구도 여전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이처럼 삶의 질 중심의 주거환경에 대한 관심은 커지고 있으나 기존의 공급자 중심의 연구개발은
시민의 실제 경험을 충분히 반영하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었다
. 이에 따라 최근에는 사회문제 해결형 연구개발에서는
시민 참여와 현장 적용성을 중시하는
리빙랩(Living Lab)’ 방식이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주목받고 있다.

 

()한국환경건축연구원과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은 이러한 사회적 요구와 연구 패러다임의 변화를 반영하여
사회문제 해결형 건축기술개발 과정에서 리빙랩 방식의 필요성과 실질적 가치를 확산하기 위한 자리를 마련했다
.
세미나는 주제발표와 종합토론으로 진행된다.

 

먼저 이윤규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건축연구본부/실내환경관리센터 선임연구위원이
건축기술개발 과정에서리빙랩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주제로 발표를 진행한다
.
이번 발표에서는 전문가 중심으로 이루어져 온 연구개발의 한계를 살피고,
시민 참여형 리빙랩 방식이 건축기술개발에 왜 필요한지와 이를 통해 기대되는 기술적·사회적 효과를 소개할 예정이다.

 

이어 이선우 한국환경건축연구원 R&D센터장이 주거생활환경 문제해결을 위한 리빙랩 운영사례와 함께
리빙랩의 활성화 방향에 대해 발표한다
. 이선우 센터장은 우리는 시민과 전문가, 기업이 함께 협력하며
주거생활환경 문제를 해결하는 실질적 플랫폼으로써 리빙랩을 적극 활용하고 있다
.
운영 과정에서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의견 조율이나 제도적 한계와 같은 어려움도 있으나,
이러한 경험이 지속가능한 모델과 정책 개선의 밑거름이 되고 있다.”고 말했다.

 

종합토론에서는 조영태 한국토지주택연구원 단장이 좌장을 맡아 국민체감형 사회해결문제를 위한
리빙랩 방식의 연구개발 활성화를 주제로 토론을 진행한다
.

 

패널로는 문명희 에코나우 본부장, 정진연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책임, 문수영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연구위원,
전정윤 연세대학교 실내건축학과 교수, 양성아 고양 리빙랩 시민참여멘토단 코디네이터가 참석해
다양한 리빙랩 주체가 직접 경험한 사례를 공유하고
, 지속가능한 리빙랩 운영을 위한 발전 방향을 폭넓게 논의할 예정이다.

 

한국환경건축연구원 이경회 이사장은 이번 세미나는 시민과 연구자가 함께 문제를 정의하고 해결책을
만들어가는 협력의 장이 될 것
이라며, “리빙랩 방식의 건축기술개발이 국민 주거환경 개선과 지속가능한 사회로
나아가는 중요한 발판이 되길 기대한다
고 밝혔다. ()

관련기사 - https://www.kharn.kr/news/article.html?no=29236